부산 광안대로 평일 출근 시간 통행료 경감 시간대를 1시간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7일 부산시에 따르면 박형준 시장은 오는 21일부터 시작되는 부산시의회 제328회 임시회에 '부산광역시 유료도로 통행료 징수 등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을 제안했다. 조례안 핵심은 현재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로 돼 있는 광안대로 출근 시간 통행료 50% 감면 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전 9시까지로 1시간 더 늘리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기준 오전 6시부터 오전 7시까지 광안대로를 이용한 차량은 64만1천103대였던 것으로 파악했다. 소형 차량이 54만4천141대였고, 특수 차량이 5만1천323대, 대형 차량이 8천137대였다. 통행료 감면 시간대가 확대되면 올해 광안대로 통행료 수입은 1억6천200여만원 감소하고, 2026년부터는 한 해 2억7천900여만원이 줄어들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퇴근 시간 통행료 50% 감면 시간대는 현행처럼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유지된다. 소형 차량의 경우 광안대로 정상 통행료는 1천원만, 출퇴근 시간 통행료는 500원이다. 대형·특수 차량의 경우 정상 통행료는 1천500원, 출퇴근 시간 통행료는 800원이다. 조례안은 부산
광안대교 무정차 통행시스템 스마트톨링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설공단은 지난달 1일부터 전면 시행한 광안대교 스마트톨링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사전 등록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241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만족도 조사 결과 응답자 92%가 스마트톨링 시스템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또 92%가 광안대교 통행이 빨라졌다고 느꼈다고 답변했다. 사전 등록 절차와 관련해 응답자 82%가 쉽거나 아주 쉽다고 했다. 스마트톨링 인지 경로는 현수막·도로 전광판이 75%,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13%, 신문광고 또는 기사 8%, 라디오 4% 순으로 나타났다. 개선·제안 사항으로는 기존 요금소 시설물의 빠른 철거, 타 유료도로 확대 시행, 통행 시 알림 서비스 운영, 환급 절차 및 면제 차량 안내 요청 등이 제시됐다. 지난 4일 오전 9시 기준 스마트톨링 사전 등록 차량 수는 2만5000여대를 돌파했다. 자세한 사항은 공단 광안대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달 1일부터 부산 광안대교 통행 시 새로운 요금 징수 체계가 적용된다. 부산시설공단은 다음 달 1일부터 광안대교에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전면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톨링은 하이패스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주행 중인 차량번호를 인식해 자동으로 통행요금을 부과하는 기술이다. 요금소가 따로 필요 없어 감속 없이 도로를 통과할 수 있다. 기존 하이패스 단말기 이용 차량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단말기 미부착 차량은 ▲결제 수단 사전 등록 ▲자진 납부 2가지 방식 중 선택해 통행료를 낼 수 있다. 사전 등록은 공단 광안대교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자진 납부는 운행일 이후 15일 이내 공단 광안대교 누리집 또는 콜센터에서 직접 내면 된다. 자진 납부 기간 15일 이후에는 통행료가 전자고지서로 고지되며, 전자고지서 미수신으로 조회될 때는 우편 고지서가 발송된다. 공단은 하이패스와 결제 수단 사전 등록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이를 이용하는 차량에 대해서 차종별 통행료 100원을 할인하는 요금 할인제를 함께 실시한다. 다자녀가정 차량, 두리발 등 부산시 유료도로 통행료 징수 등에 관한 조례에 따른 면제 대상 차량은 면제차량관리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부산시 건설본부는 광안대교 벡스코 요금소에서 센텀시티 지하차도를 연결하는 램프를 거치하기 위해 수영강변대로 올림픽동산 삼거리에서 우동천 교차로 구간 교통을 6일간 전면 통제한다고 11일 밝혔다. 교통통제는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12월 2일,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모두 6일이다. 통제 시간은 출·퇴근 시간대를 피해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다. 해당 구간을 통행하는 시내버스 139번, 307번, 1003번도 교통통제 시간 동안 해강중고교 정류소 등을 거치지 않고 요트경기장 삼거리에서 올림픽교차로 방향으로 우회 운행한다. 광안대교 접속도로를 연결하는 이번 공사는 영화의전당 일원 수영강변대로 교통량을 센텀시티 지하차도로 분산해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2023년 1월 착공했고 2025년 말 개통을 목표한다. 공사가 준공되면 벡스코 요금소에서 센텀시티 지하차도로 진입하는 길이 276m 연결교와 센텀시티 지하차도에서 수영강변대로로 진입하는 길이 284m 도로가 생겨 해운대 일대 교통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