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광산구 국공립 어린이집 선정 과정에서 특정 대학의 특정 학과 출신이 특혜를 받고 있다는 논란이 제기돼 행정안전부가 조사에 착수했다.
14일 광주 광산구 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복무감찰담당관실은 최근 국공립 어린이집 선정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논란을 조사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광산구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8곳의 국공립 어린이집을 공개경쟁 방식으로 선정했는데 이 가운데 5곳이 광주지역 한 대학교 유아교육과와 연관된 곳으로 파악됐다.
5곳 중 4곳은 해당 대학 대학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휴학 중인 사람이 원장으로 있는 곳이었고, 나머지 1곳은 해당 대학 산학협력단이 직접 운영하는 곳으로 확인됐다.
산학협력단이 이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 새로 채용한 원장 역시 해당 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해당 학과에 소속된 A 교수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A 교수는 2022년부터 현재까지 광산구 국공립어린이집을 선정하는 보육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광산구에서 국공립 어린이집에 선정되려면 해당 학교 유아교육과에 가야 한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돌 정도"라고 말했다.
특히 A 교수가 같은 학과에 소속된 이들을 심사하는 것은 직접 이해관계가 있는 것이어서 규정상 어긋나는 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광산구 관계자는 "국공립 어린이집 선정은 9~10명의 보육 정책위원이 각각 심사한 점수에서 최저점과 최고점을 제외하고 평균을 내 1순위로 선정하고 있다"며 "특정인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산구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원장님들이 가까운 학교로 진학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A 교수가 직접 지도한 학생을 심사하는 것이 아닌 한 규정상 문제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